[기자수첩] 오륙월 오뉴월로, 육월은 유월로

  • 입력 2015.06.17 16:03
  • 기자명 /이형섭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중부지방의 극심한 가뭄으로 춘천 소양강댐의 수위가 역대 최저치로 근접한 가운데 일찍 불볕더위까지 겹치면서 불쾌지수 또한 80가까이 치솟았다.

 대구 26도를 비롯해 서울 대전 광주 23도 등 ‘오뉴월 더위에 염소 뿔이 빠진다’는 구전이 실감나는 요즘이다.

 얼마나 더웠으면 염소 뿔이 물렁 물렁 해 져서 빠질 정도라는 옛말이 있다. “요뉴월 볕은 솔개만 지나도 낫다”는 말도 있다. 오뉴월 땡볕에 솔개가 지나면서 만드는 조그만 그늘도 매우 소중하다는 뜻이다.

 이들 속담에에 나오는 ‘오뉴월’은 음력 5월과 6월이란 뜻으로, 여름 한철을 가리킨다. 양력으로 치면 6월 중순~8월 중순 쯤 된다.

 이처럼 5월과 6월을 합쳐 부를 때 일이월(1월과 2월), 삼사월(3월과 4월), 칠팔월(7월과 8월)등과는 달리 ‘오뉴월’로 쓰는 이유가 뭘까?

 ‘오륙월’이라고 하는 게 맞는 것 같지만, ‘오뉴월 감기는 개도 안 걸린다’, ‘오뉴월 손님은 호랑이 보다 무섭다’.

 그러나 지금 전국적 메르스 공포에 떠는 것 보다는 덜 하겠지만, ‘오뉴월’로 표현하는 게 바르다. 한자어는 본음으로도, 속음으로도 발음하기 때문이다.

 속음은 본음과는 달리 일반 사회에서 널리 쓰는 음을 이른다.

 ‘六月’을 ‘육월’이라 하지 않고 ‘유월’로 읽는 게 쉽고 듣기에도 부드럽다. 어떤 소리를 더하거나 바꿔 발음하기 편하고, 듣기 좋은 소리가 되게 하는 활음조 현상이다.

 ‘十月(십월)’을 시월로, ‘五六月(오륙월)’을 오뉴월로, ‘九十月(구십월)’을 구시월로, ‘初八日(초팔일:음력 4월 8일)’을 초파일로 사용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한글 맞춤법은 유월·시월·오뉴월·구시월·초파일 등과 같이 한자어에서 속음으로 읽히는 것은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우리에게 익은 소리를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오륙십(五六十)·십일(十日)·팔일(八日)등은 모두 본음 그대로 읽지만, 육월·십월·오륙월·구십월·초파일(음력 4월 8일)등과 같이 쓰는 건 맞춤법에 어긋난다.

 이밖에 ‘승낙(承諾) 수락(受諾)·쾌락(快諾)·허락(許諾)’, ‘분노(忿努)·격노(激努)·진노(瞋努) 대노(大怒)·희로애락(喜怒哀樂)’, ’토론(討論) 의논(議論)’처럼 같은 한자어이지만 본음으로도 읽히고 속음으로도 읽히는 것이 많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