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성호 칼럼] ‘이래서는 안 될 사회’ 무슨 수가 없나

  • 입력 2018.07.22 19:19
  • 기자명 /배성호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배성호 본지 상무이사
▲ 배성호 본지 상무이사

 요즘 우리사회를 ‘도덕이 파괴된 폐허의 터’라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가고 있는 듯하다.

 ‘도덕’은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살 때 서로의 복지와 행복을 위해서 이익과 손해 권리와 의무를 공평하게 배분하고 그에 합당한 행위규칙을 지키며 살겠다는 약속이자 관습이다.

 현 사회가 부딪힌 문제가 바로 이런 행위규칙으로서의 도덕이 지켜지지 않는데 있는 것 같다.

 나는 남의 남이 아닌가? 내가 남을 고려해 주고, 내가 남과 함께 지켜야 할 행위규칙을 지키지 않는 것은 결국 내가 바로 타인의 남인 까닭에 나도 그런 대접을 받게 마련 아니겠는가?

 현재 우리나라는 자동차 사고 사망률 세계 1위, 산업재해사망률 1위, 해상사고율도 최고수준으로 나타나 고개를 들 수 없을 정도다. 또 범죄신고율도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하면 보복이 두렵고, 참고인 조사를 받기 위해 경찰서를 방문하기도 힘들며, 검거율도 높지 않기 때문이다.

 이 같은 통계수치는 결국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살면서 서로 지켜야 할 행위규칙이 파괴돼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해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일 것이다.

 이처럼 행위규칙이 안 지켜지는 까닭을 학자들은 △독특한 우리나라의 가족이기주의 △우리민족은 국가의 신세를 져본 경험이 적다. 다시 말해 사회보장제도의 미흡과 죽고 사는 문제를 가족단위로 해결하기 때문 △행위규칙에 대한 연습과 훈련부재. ‘즉 세살버릇 여든 간다’는 도덕적 행위규칙에 대한 인식부족 등으로 지적하고 있다.

 특히 현 사회가 중간과도기사회(단선적 사회에서 복선적 사회)인 아노미적 사회(가치와 행위규칙에 대한 표현기준이 정립 안 된, 단지 ‘금지 당했던 것을 해보려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인 것처럼 오해되는 설익은 사회)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고로 행위규칙을 점진적이고 지속적으로 회복하는 대안을 제시해 본다.

 우선 0세부터 7세까지 아동의 가정교육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 감정적 색채는 6세를 전후한 어린 시절에 잘 형성되기 때문에 이시기에 제대로 된 도덕교육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또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연대해서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행위규칙을 제대로 연습하고 훈련받도록 해야 한다.

 이와 함께 의사, 변호사, 교사, 경찰관, 세무사, 공무원, 군인 등 전문가 집단이 자기영역에서 행위규칙을 지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훈련해야 할 것이다.

 우스갯소리 한마디 해본다. ‘1+1은 몇이냐?’고 △변호사 △수학교사 △사업가에게 물으면 답이 어떻게 나올까?

 변호사는 “몇을 원하십니까?(유전무죄 무전유죄)”, 수학교사는 “2”로 답할 것이고, 사업가는 “해봐야 알겠지만 마이너스도 될 수 있고 10 이상도 될 수 있다”고 대답할 것으로 여겨진다.

 고로 우리사회는 군수 열 마디보다 도지사 한마디가 낫고, 도지사 열 마디보다 대통령 한마디가 힘이 있다는 말을 누구나 인정하기에, 돈과 권력을 가지고 있는 힘 있는 사람의 도덕교육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정의로운 사회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