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기후 위기 대응, 미래가 아니고 현실의 문제다

  • 입력 2022.02.08 14:24
  • 기자명 /장명익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장명익 기자.
▲ 장명익 기자.

 정부에서는 지난 2020년 12월 ‘경제구조의 저탄소화’, ‘탄소중립 사회로의 공전 전환’, ‘신유만 저탄소 생태계조성’ 등 3대 정책에 ‘탄소중립 제도적 기반 강화’를 더한 ‘3+1’전략을 발표했으며 이를 근거로 2021년 3월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 전략을 확정해 정부의 탄소중립을 2050을 위한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이제 정부의 전략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도 기후 위기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제 머지않은 시대에 영화에서 보는 듯한 재난이 우리 현실에 닥칠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작은 것 하나부터 챙겨나가야 할 것이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을 외치고는 있으나 지방의 작은 도시(도내 군부)에서는 그 문제점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을 못 할 뿐만 아니라 현실에 와닿은 인구 소멸의 위기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지금 당장 굶어 죽을 판인데 미래를 걱정하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서서히 쌓여 가는 쓰레기 동산, 한때는 봄에 잠깐 나타난 미세먼지가 이제는 연중 상시 우리를 덮고 있으며, 무분별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로 인한 매립지 부족 등은 문제를 행정기관의 문제로 손 놓고 그 미래는 내 미래가 아니라는 생각으로 무관심의 길을 걷는 것은 바람직한 행동이 아닐 것이다. 

 탄소 중립 2050은 정부 차원에서 대단위 변화의 길을 모색해야 하는 것은 맞다. 현재의 산업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개편하고 화석연료 대신 재생 에너지를 더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해 나가는 것도 정부의 몫일 것이다. 

 하지만 이제 정부의 그늘에만 기댈 것이 아니라 각자가 해야 할 작은 것에서부터 실천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지자체의 경우도 지방정부로서 그 역할을 다해 나가야 할 것이며, 여기에 국민들이 힘을 보탤 수 있는 실천 운동을 자발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것도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 

 자발적인 시민 운동에 정부와 지지체가 재정을 지원하고 함께 노력해 나간다면 나비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세상을 바꾸고 변화시키는 것은 위에서 시작된 것은 거의 없다.

 현재의 지구를 그리고 우리의 삶을 터전을 지키는 것도 역시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누가 대신 해주지 않을 것이다. 

 지금 당장 탄소 중립 2050실천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자. 플라스틱 하나 덜 쓰기,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저탄소 제품 구매하기 등 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작은 실천이 곧 지구를 살리고 내 자식 내 손자들이 살 따뜻한 공간을 마련해 주는 일이 될 것이다. 

 오늘부터 탄소중립 2050을 위한 한 걸음을 내디뎌 보자. 

 

 

저작권자 © 경남연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