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수 논단] 고금리로 상권 회복은 쉽지 않고 경기 상승은 흐름을 타지 못했다

  • 입력 2023.02.07 13:51
  • 수정 2023.02.07 13:56
  • 기자명 /경남연합일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본지 이현수 논설위원
▲ 본지 이현수 논설위원

 코로나19가 끝난 것 같지만 경제는 여전히 버겁다.

 미 연준이 올해 첫 기준금리를 4.50~4.75%로(0.25% 포인트) 올리며, 미국의 기준금리는 지난 2007년 이후 최고 수준을 유지하게 됐다.

 0.25% 포인트 금리 인상은 시장에서 어느 정도 예상된 부분이라 관심은 인플레이션 완화다.

 “당분간 긴축 통화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한 파월 의장의 발언도 관심 있게 지켜볼 대목이다.

 발언의 요지는 “올해 금리 인하는 없다”는 결론이다.

 이는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차단한 듯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올해 경남의 부동산 시장 또한 이런 고금리 문제로 녹록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서울, 경기에 비해 그나마 하락 폭이 적은 경남이었지만 대출 이자에 대한 부담은 피할 수 없는 여건으로 자리 잡았다.

 고금리가 가져다준 경기 위축, 부동산 세제 정상화 지연 등으로 이사철을 앞둔 3월 이후에도 우리 지역의 집값 하락은 어쩔 수 없을 것이라는 예측이 일반적이다.

 서두에 언급한 것처럼 미 연준 기준 금리가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시절인지라 서민의 꿈은 그 반대로 급격한 심리적 위축감을 맞는다고 보면 된다.

 금리에 대한 부담으로 100% 현금을 보유한 구매자가 아니고서는 좋은 매물이 있어도 망설일 수밖에 없다.

 올해 부동산 시장의 가장 큰 변수가 ‘금리’라는 사실은 누구나 다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부분을 잡고 해결할 능력은 누구에게도 쉽지가 않다는 것 또한 문제다.

 부동산 시장 흐름에서도 미국 연준 정책금리에 연동돼 움직이는 만큼, 우리 도민이나 젊은 세대가 내 집 마련을 하기에는 버거운 2023년이 될 것 같다는 전망이 쓰리기만 하다.

 코로나가 풀렸다고는 하지만 상권 회복은 쉽지가 않고, 여전히 경기 상승은 흐름을 타지 못했다.

 고금리 여파가 주는 대출이자 부담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허리를 펴지 못하게 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도민이 체감으로 느끼는 민감한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인구 유입만 한 대안은 없어 보인다.

 시장경제가 살아나는 경남이 된다면 우리 도를 찾아오는 인구는 분명 늘어날 것이고, 우리 도민이 가진 재산 가치도 상승하는 구조가 형성되리라는 생각이다.

 누군가는 집값 하락으로 걱정이고, 누군가는 집값 상승이 걱정이다.

 적절한 해법은 어디서나 어려운 결론으로 정리되기 힘든 세상이다.

 미 연준의 기준 금리 변동에 도민의 살림살이에도 힘겨움이 많다.

 이래저래 도민의 삶이 힘겨워질 2023년이다.

 

저작권자 © 경남연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