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성호 칼럼] 대학 입시제도 개선책은?

  • 입력 2023.11.12 11:27
  • 기자명 /배성호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배성호 본지 전무 이사
배성호 본지 전무 이사

 오는 16일 수능을 앞두고 현 대학 입시제도에 대해 수험생과 학부모, 일선 교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올해 수능은 킬러 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등으로 수능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면서 기존 대학 재학생들의 재도전 기대 심리를 부추긴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대학교에 다니면서 수능에 다시 도전하는 이른바 ‘반수생’이 올해 9만명에 달할 것으로 나타나, 교육계는 의대 정원이 늘어나면서 이런 반수생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 J학원에 따르면, 지난 6월 평가원 모의고사 재수생 접수 인원과 본수능 접수 인원을 통해 추정한 2024 수능 응시 예정인 반수생은 8만9642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여기에 정부가 의대 정원 방침을 확대하면서 반수에 도전하는 상위권 학생들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대학 입시 전문가들은 “최상위권 대학에서는 반수를 통해 의대로 이탈하고, 중하위권 대학에선 상위권 대학 일반학과로의 이동이 많을 것이다”면서 “정부가 의대 정원을 확대하면 수능에서 현역 고3 수험생들은 사실상 수시를 빼면 N수생이나 반수생들에게 의대 입학 자리를 빼앗길 확률이 높다”고 예측했다.

 이런 반수생 증가는 지방 대학 소멸에 가속도를 붙게 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해 반수 성공 등으로 대학을 중도에 그만둔 학생은 9만7177명으로, 서울 소재 대학(1만7117명)보다는 지방 소재 대학(6만8053)이 4배가량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수험생, 학부모, 일선 교사들은 수능의 평가 방식을 빠른 시일 내 전반적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인격을 형성해 올바른 역사의식과 사회의식을 갖게 하는 ‘참 인간’을 길러내는 데 있다.

 우리의 교육 목적이 홍익이념(弘益理念)을 바탕으로 한 참 인간을 길러내는 데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권층을 위한 것 같은 잦은 입시제도 개편 등으로 인한 혼란이 끊이지 않아 교육정책의 전반적인 정비가 요구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교육열이 높은 우리 부모들은 ‘공부는 출세’라는 잘못된 가치관에 젖어 자나 깨나 공부하기만을 강요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지난 70년대 대학 시절을 보낸 필자도 사실 대학 입시 하나만을 위해 시골에서 서울로 유학해 중·고교의 모든 시간과 에너지를 쏟았으나...

 사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식을 남보다 훌륭하게 잘 키우고 싶은 욕심이 도를 넘거나 사회 정의에 반하는 극단적인 이기심이 아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공부하기만을 강요해 왔음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1류 대학에 입학하면 대기업에 취직해 먹고사는 문제가 거의 해결되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기에 부모나 자식이나 대학 입시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아닐까?

 화제를 좀 바꿔보자.

 지난 정부 때 모 장관 딸의 대학 입시 관련 의혹이 우리 사회 최고의 관심사로 대두됐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이에 대해 “모 장관 가족을 둘러싼 논란의 차원을 넘어서서 대학 입시 제도 전반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그동안 입시제도에 대한 여러 가지 개선 노력이 있긴 했지만, 여전히 입시제도가 ‘공평하지 못하고 공정하지도 않다’고 생각하는 국민들이 많다”고 강조했다.

 또 “공정의 가치는 경제 영역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사회 영역, 특히 교육 분야에서도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한다”며 “이상론에 치우치지 말고 현실에 기초해 실행 가능한 방법을 강구하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의 대입제도 재검토 지시 후 6년여 지나고 새 정부가 들어선지도 1년 6개월여 지났으나, 초중고 학생은 물론 학부모와 전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효과는 기대한 만큼 나타나지 않고 있다.

 교육제도의 잘못은 물론 학교와 가정 모두가 책임이 있다.

 한 교육자는 “우리나라 과거제도는 788년 신라시대부터 시작돼 1000년 이상 이어 왔는데, 부모의 재산과 권력, 가문의 위세 등에도 흔들리지 않고 공정하게 실시됐다”며 “의학·첨단 과학 등의 인재 선발에는 어떤 방식보다 시험이 최상의 길로 여겨진다”고 강조했다.

 필자가 주장하는 결론은 도내 의령·산청·합천 등 고교생들이 ‘소멸되는 농촌’을 살리고, 수도권 대학과 부산대 등 지방 우수 대학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공교육의 바탕 위에서 ▲지자체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 ▲입시 전문강사 확보 및 수시로 외래 대학 입시 전문강사 초청 특강 ▲입시 정보를 언제든지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는 최첨단 시설 확보 등 대학 입시에 대한 지속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교육청 정책 결정자와 교육 담당자, 학부모 모두가 한마음으로 지원과 책임 의식을 가져야 가능할 것으로 믿어진다.

키워드
#칼럼
저작권자 © 경남연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